검색결과 리스트
글
@ 방문일시 : 2018.7.27.(금)
@ 장소 : 충남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553 백제원 생활사박물관
@ 목적 : 부여 여행 중 너무 뜨거운 폭염으로 실내데이트코스를 찾아 관람.
@ 날씨 : 폭염
@ 입장료 : 어른 6,000원 / 청소년, 어린이 5,000원
@ 주차비 : 무료
@ 관람시간 : 10시30분 ~ 18시
@ 특징
1. 생활사(LIFE)와 수족관, 식물원, 추억의 놀이터, 부여 옛거리, 성인전시실까지 볼거리 풍성함.
2. 유네스코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재현 조형물이 많아 역사 공부도 됨.
3. 근현대 생활사들도 많이 전시되어 있어 곳곳에서 옛 추억에 빠져볼 수 있음.
우리 커플은 부여 여행 때 백제원 생활사박물관을 찾았다.
복합문화공간 백제원 현판과
선사시대, 백제, 근현대까지 수천년
충청, 부여 지역의 생활사 유물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란 문구의 현수막이 입구에 걸려있었다.
'개인이 운영하는 박물관인 거 같은데,
커봤자 얼마나 크며, 종류가 많아봐야 얼마나 있겠어.'
'금방 훑어보고 가자.' 하는 마음으로 별 기대 없이 들어갔는데,
웬 걸, 생각과는 달리 부여 백제원 생활사박물관은 볼거리가 풍성했다.
@ 관람 안내도.
관람 루트 : 부여생활사박물관 - 식물원 - 휴게실 - 추억의 놀이터 - 부여 옛거리 - 성인전시실
입장료를 내고 실내로 입장하면 처음 나오는 공간.
부여생활사박물관이라는 글씨가 그럴 듯하다.
@ 옛날 TV
귀엽고 앙증맞다.
옛날에는 TV가 이렇게 앞뒤로도 뚱땡이에 브라운관이 곡선졌였었는데
요새는 TV들이 다이어트를 엄청 잘해서
앞뒤로 종잇장처럼 엄청 날씬해졌다.
요새 TV는 벽에도 붙여놓을 수 있어 벽걸이TV라 하더라.
@ 성냥과 성냥갑.
예전에는 생일이나 제삿날에 촛불에 불 붙일 때
이 성냥으로 불을 붙였는데.
요새는 성냥갑을 볼 수가 없는 거 같다.
성냥은 점차 추억 속의 물건이 되어 가고,
라이터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것 같다.
@ 한약재 서랍.
빽빽한 한약재 서랍을 보고 있노라니,
어렸을 적 시골 한의원 앞을 지나가면
한약 달이는 냄새가 깊게 코 안까지 들어왔었는데,
마음속 저 깊이 가지고 있던 그 냄새가 생각나는 마법이 일어났다.
@ 추억의 캐릭터 옷 입히기 놀이
옷 부분 잘라서 공주님 캐릭터에 이 옷도 입혀보고 저 옷도 입혀보며 노는 놀이 종이.
여자 아이들에게 인기있었던 종이 놀이다. 지금도 문구점에서 파는지 모르겠네.
@ 부여 백제원 생활사박물관에서 만난 토기.
토기를 보니 입구 간판에 쓰여있는
선사시대, 백제시대 것까지 다 있다는 말이
허풍이나 과장이 아님을 실감했다.
@ 1974년 6월 김종필 국무총리의 기능자 등록 실시에 관한 담화문
대통령긴급조치 제3호가 선포되고 실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.
@ 부여읍 한식업소 차림표
된장찌개 백반 2,000원,
김치찌개 백반 2,500원,
소주 1,000원
하던 시절이 다 있었구나.
@ 양복
미도파 남성패션 원양복점이란 파란 글씨가 눈에 띈다.
추억의 미도파 백화점.
화려하고 알록달록한 베개들이 빽빽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.
안녕? 넌 자라니? 거북이니?
@ 수족관.
수족관을 영어로는 아쿠아리움이라 하든가?
그럼 아쿠아리움.
이곳에서 다양한 어종의 물고기들을 볼 수 있었다.
@ 고란초
- 고란초는 충청남도 부여의 고란사 암벽에 많이 나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.
- 2005년 이전엔 자연환경보전법에 의거 멸종위기 보호식물로 관리되어 왔으나,
전국에 군락지가 다수 발견됨에 따라 현재는 멸종위기 야생식물에서 제외됨.
@ 식물원
@ 물속에서 헤엄치고 있는 예쁜 컬러의 잉어떼
@ 일월오봉도 포토존.
일월오봉도를 이렇게 재현해놓은 모습이 재밌다.
왕의 상징인 일월오봉도(=일월오악도, 일월오봉산도, 일월곤륜도, 일월도)
- 왼쪽의 흰 달은 밤, 오른쪽의 붉은 해는 낮
- 가운데 다섯 봉우리(오악)은 5대 명산(동서남북중)으로 국악이 다루는 영토.
(동악: 금강산, 서악: 묘향산, 남악: 지리산, 북악: 백두산, 중악: 삼각산)
- 소나무 : 왕손의 번창
- 파도 : 조정
을 상징함.
만원짜리 지폐의 세종대왕 뒤편에 일월오봉도가 자리잡고 있다 한다.
@ ♡ 사랑문
내사랑과 나란히 보폭을 맞춰 사랑문을 같이 통과했다.
태극무늬 항아리.
@ 정림사지5층석탑(국보 제9호)과 스님 조각상
유네스코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정림사지에 있는 국보 제9호 정림사지5층석탑도
생활사박물관에서 볼 수 있었다.
@ 앵무새.
@ 눈이 빨갛고 동그란 핑크색 토끼 의자.
뭘 보고 놀랐니?
@ 나성(사적 제58호)
- 백제 수도 사비 보호를 위해 쌓은 둘레 8km의 성
- 방어의 기능 + 수도 안과 밖의 상징적읜 경계 역할
- 나성은 산성과는 달리 산지와 평지를 연결한 독특한 구조.
@ 능산리 고분군(사적 제14호)
3기씩 앞 뒤 2열을 이루고 그 뒤 1개가 떨어져 있는 모습까지 재현되어 있었다.
- 백제 왕릉으로 추정되는 무덤7기
- 편년이 가장 앞서는 2호분이 부여로 천도한 성왕의 무덤으로 추정됨.
- 고분군의 서쪽 절터에서 백제금동대향로와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이 출토되어
능산리고분군이 사비시대 백제 왕실 무덤지역임을 재확인시켜줌.
@ 부여 궁남지(사적 제135호)와 포룡정
궁남지 연못 아래에 거대한 잉어가 가득하다.
- 일본서기에는 궁남지의 조경 기술이 일본에 건너가 일본 조경의 원류가 되었다고 전하고 있음.
- 연못 동쪽에 당시의 별궁으로 보이는 궁궐터가 남아 있음.
- 정자에는 부여가 고향인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쓴 포룡정(抱龍亭)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.
@ 서동요
선화공주님은
남몰래 시집가 두고
맛등 서방을
밤에 몰래 안고 간다
- 원문과 함께 설화가 삼국유사 권2 무왕조에 실려 전함.
- 4구체로된 국문학사 상 최초의 향가
- 향가 중 유일한 동요
- 서동(백제 무왕)이 선화공주를 얻기 위하여 아이들에게 부르게 한 동요.
@ 배를 타고 백마강을 건너는 모습
@ 휴게실
@ 각종 지루박 레코드판
마도로스 지루박, 올지루박 등 지루박 레코드판 껍데기가 벽면에 가득 전시되어 있다.
@ 종이로 만든 딱지.
초등학교 다닐 때 딱지치기 많이 했었는데.
양면으로 딱지 합쳐서 양면딱지도 만들고,
엄청 큰 종이로 접어서 왕 딱지도 만들고 했었던 기억이 난다.
@ 엿
@ 가득한 추억의 장난감.
@ 그 시절 추억의 탈 것과 오락실 오락기
부여 백제원 생활사박물관 구경하는데
고양이가 따라와서 친해지고 싶다고 하여 사진 한 컷 찰칵.
@ 부여 옛거리
@ 정기총회장
양 옆으로 가득한 토기와 전시물들도,
중앙 교탁 뒤편의 일월오봉도도 눈에 띈다.
@ 성인 전시실 전경
- 성인 전시실은 성인임을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알아야 들어갈 수 있다.
19금 성인 전시실에는 야한 비디오 영상이 나오기도 하고
남녀간의 섹스 행위를 묘사한 것들,
성인 잡지, 전화번호 명함 등이 전시되어 있었다.
본문 내용에 담기 어려운 수위 높은 야한 것들은 생략.
@ 그 시대 성인비디오.
일명 빨간 비디오테이프.
성인전시실의 야한 얘기로 글을 끝내면
앞의 글 내용은 하나도 생각 안 나고
뒤에 야한 얘기만 기억날 거 같아
마지막은 건전하게 어린이 노래방 버스 사진으로 이 글을 끝냄.
'국내여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령 냉풍욕장 동굴, 물놀이장 실내외데이트 - 폭염 속 에어컨 바람보다 더 시원한 피서지 / 충남 보령 가볼만한 곳 (133) | 2018.08.21 |
---|---|
부여 정림사지5층석탑, 정림사지박물관 실내외 데이트(사적 제301호) / 충남 부여 가볼만한 곳 (99) | 2018.08.18 |
부여 백제문화단지, 백제역사문화관 실내외 데이트 / 충남 부여 가볼만한 곳 (102) | 2018.08.13 |
롯데 부여리조트 호텔 디럭스 클린형(59m2) 2박 숙박 후기 - 전통과 현대 건축의 조화 / 충남 부여 가볼만한 곳 (126) | 2018.08.10 |
부여 궁남지 야경 데이트 - 부여 서동연꽃축제 여흥이 남아있는 곳 / 충남 부여 가볼만한 곳 (83) | 2018.08.09 |
RECENT COMMENT